🧪 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공식 & 암기법 총정리
건설재료시험기사는 과목 폭이 넓고 실험식이 많아서 끝까지 헷갈리기 쉬워요. 디시인사이드나 네이버 카페에서도 “공식을 통째 암기하기보다 틀→단위→대입으로 가라”는 얘기가 자주 보입니다(저도 그 방식으로 오답이 확 줄었어요). 아래는 기출에서 반복되는 핵심 공식과 현장식 암기키를 한 번에 보이도록 정리했습니다.
양이 많아 보여도 구조는 단순합니다. 각 소주제는 최소 2줄 이상으로 채웠고, 바로 문제에 대입될 수 있게끔 숫자·단위 포인트를 붙였어요. 북마크해두고 회독 때마다 쓱- 확인해보세요. 오늘도 가볍게 10문제만 돌려보면 금방 속도 붙습니다.
🪨 골재 기본: 체가름·흡수·비중
세립분지수/조립률(FM): FM = Σ(누가잔%)/100. 체별 누가잔 백분율을 더해 100으로 나누면 끝. 숫자 실수 많으니 표를 그려놓고 더하세요.
암기키: “FM은 누가잔 합/100”. 네이버 카페에서도 이 한 줄로 요약하는 글이 많습니다(예시 커뮤니티).
흡수율: Abs(%) = (WSSD − Wdry)/Wdry × 100. 벌크비중(건조): Gbulk(dry) = Wdry / (WSSD − Wsub), 벌크비중(SSD): Gbulk(SSD) = WSSD / (WSSD − Wsub).
암기키: “비중은 위에 건조/SSD, 아래는 부력 차”. 물 온도(ρw)는 4~20℃ 범위면 큰 오차 없음(시험 지문 우선).
🧱 시멘트·콘크리트: 슬럼프·공기·강도·수량
슬럼프는 수치 자체보다 작업성 변화를 묻는 응용이 많음. 공기량(압력법)은 게이지값 → 표 변환 원리만 기억해도 절반 먹고 들어갑니다.
압축강도: fc = P/A (P=파괴하중, A=단면적). 단위용적질량: γ = W/V, 배합수량 근사: Q = ρ·cp·V·ΔT 같은 틀보단 문제지 수치/표 제시값 우선.
콘크리트 수율·여분도 자주 나옵니다. 이론수율 = 총재료질량 / 단위용적질량, 현장수율 = 배치 질량 / 현장 체적. 현장 오차는 ±2% 내외가 흔한 값. 디시에서도 “fc=P/A부터 쓰고 시작”이 국룰처럼 돌아요(관련 갤).
🛣️ 아스팔트 혼합물: 마샬·공극률 세트(VIM/VMA/VFA)
VIM(공기공극률): VIM = (Gmm − Gmb)/Gmm × 100
VMA(광물골재 간 공극): VMA = 100 − (Gmb·Ps/Gsb)
VFA(아스팔트로 채워진 비율): VFA = (VMA − VIM)/VMA × 100
암기키: “VIM은 최대−벌크, VMA는 골재 기준, VFA는 VMA 중 채워진 몫”. 네 카페에서도 이 3식 세트로 외웁니다.
🧪 물리시험: 마모·안정성·소리·함수율
LA 마모손실: Loss(%) = (W전 − W후)/W전 × 100. 황산염 안정성도 유사한 손실율 계산 구조예요.
함수율: w(%) = (Ww/Wdry) × 100 = (Wwet − Wdry)/Wdry × 100. 포화표면건조(SSD) 조건을 지문에서 어떻게 정의하는지 꼭 체크.
🧵 철근·강재: 응력·연신률
인장응력 σ = P/A, 연신률 δ(%) = (Lf − L0)/L0 × 100. 단면수축률은 (A0 − Af)/A0 ×100.
암기키: “강재는 σ=P/A부터, 나머지는 변화/원래×100”. 치수 단위(mm↔cm) 바뀌면 값이 크게 달라져요.
🌲 목재·벽돌: 함수율·치수안정
목재 함수율 = (Wgreen − Wod)/Wod × 100. 섬유포화점(FSP) 전·후 수축 기여도가 달라요.
벽돌·블록은 흡수율·치수공차·압축강도가 단골. 시험은 규격치·등급 컷을 물어보기도 하니 표 숫자를 러프하게라도 기억해두면 유리.
✍️ 제 한 줄 경험담
초반에 저는 VIM/VMA/VFA 계산에서 기호가 자꾸 섞였어요. 그래서 문제 시작 전에 (1) Gmm/Gmb/Gsb 박스 → (2) Ps(%골재) → (3) 순서: VIM→VMA→VFA 로 체크리스트를 만들었더니 오답이 확 줄었습니다. 사소하지만 체감은 크더라구요.
🧠 커뮤니티 공통 암기 루틴 6가지
- 틀-대입: (FM), (흡수/비중), (fc=P/A), (VIM/VMA/VFA), (손실율) 같은 틀 먼저.
- 단위 상자: mm↔cm↔m, N↔kN, g↔kg, %, 비중(G) 표기—문제 상단에 적고 출발.
- 짝꿍암기: (WSSD−Wdry), (WSSD−Wsub), (Gmm−Gmb)처럼 세트를 묶기.
- 스케치: 골재 물 상태(건조/SSD/수중)와 무게 기호를 박스 도식으로 표시.
- 1일 10문제: 길게 말고 매일 짧게—디시/카페도 이 루틴을 많이 추천합니다(참고).
- 오답 경고문: 같은 실수 2회면 공식 옆에 “단위!”, “SSD!”, “Gmm!” 빨간 메모 붙이기.
지금 이 페이지를 즐겨찾기해두고, 오늘은 최소 10문제만 틀-대입 루틴으로 털어보세요. 손이 기억하기 시작하면 점수는 자연스럽게 올라갑니다 🙂
🤔 FAQ (자주하는 질문&답변)
❓ FM 계산에서 제일 많이 틀리는 포인트는?
👉 누가잔(%)을 합산해야 하는데 개별 잔량을 더하는 실수. 체별 누가잔 표를 먼저 그리고 나중에 합/100 하세요.
❓ 흡수율/비중에서 SSD와 수중무게가 헷갈려요.
👉 흡수율은 SSD−건조, 비중은 (분자=상태무게, 분모=부력차). Gbulk(SSD) = WSSD/(WSSD−Wsub)가 대표 형태.
❓ VIM/VMA/VFA, 어떤 순서로 구하나요?
👉 대개 VIM → VMA → VFA. VFA는 VMA 중 공극(VIM)을 제외하고 채워진 비율이라 순서상 마지막이 편합니다.
❓ 콘크리트 압축강도에서 단면 보정은?
👉 원칙은 fc=P/A이고, 캡핑·보정계수는 지문에 따릅니다. 별도 계수 제시 없으면 기본식으로 풉니다.
❓ LA 마모·황산염 손실은 어떻게 표현하죠?
👉 (전−후)/전 ×100의 손실율 구조가 같아요. 사이클 횟수·체 크기는 지문 값 우선.
🏁 결론
건설재료시험기사 필기는 FM·흡수/비중·fc=P/A·VIM/VMA/VFA·손실율 같은 반복 틀만 정확히 잡아도 체감 점수가 확 올라갑니다. 디시/네카페에서도 “틀-대입-단위” 루틴이 통용되는 분위기니까, 오늘 딱 10문제만 그 루틴으로 돌려보세요. 흐름이 바로 옵니다.
🌐 참고할만한 사이트 〉〉
🔍 더 알아보기 〉〉