⛏️ 광산보안기사 필기공식 & 암기법 한 방에 정리
처음엔 범위가 넓고 생소해서 막막하죠. 그래도 디시인사이드/네이버카페 쪽에서도 “산식→대입→단위→반올림” 체크 루틴만 지키면 점수 안정적으로 나온다는 얘기가 많습니다. 저도 이 체크박스로 계산 실수 줄였구요 🙃
아래는 커뮤니티에서 자주 언급되는 필수공식과 외우는 요령만 추려 모았습니다. 오늘 북마크해두고 하루 15분, 3회독만 돌려보세요. 체감이 확 납니다.
🌬️ 1) 환기 기본: 연속방정식 & 팬 상사법칙
연속식 Q = A·V (풍량=단면적×풍속). 단위는 보통 m³/s. 문제에서 m³/min이면 Q(min) = Q(s) × 60 꼭 반영하세요.
팬 상사 (회전수 N, 직경 D): Q ∝ N·D³, Δp ∝ N²·D², P ∝ N³·D⁵. 카페에서 흔히 “1·2·3 / 3·2·5” 리듬으로 외웁니다. 실제 계산은 비례식 한 줄로 끝.
🧪 2) 가스·폭발: LEL/UEL·농도 변환
ppm ↔ % 변환: % = ppm ÷ 10,000, ppm = % × 10,000. (예: 0.1% = 1,000 ppm). 단위실수 방지용으로 답 옆에 변환식을 작게라도 적어두세요.
메탄 CH₄ 폭발범위는 시험값으로 LEL≈5%, UEL≈15%를 가장 많이 씁니다. “오십(5~15)” 암기 팁은 디시 합격후기에서도 자주 보입니다.
🧯 3) 화재·소화 원리 & 소화기 적응성
연료–산소–점화원(폭발/연소 삼요소) 중 하나를 끊는다: 질식·냉각·제거. 갱내 화재 대책 서술형에서 포인트 되는 문장입니다.
소화기 등급: A(일반)·B(유류)·C(전기)·D(금속). 전기화재는 물소화기 X, C형 분말/가스가 원칙. 기출 틀변형 자주 나옵니다.
📈 4) 안전지표 3종: 도수율·강도율·재해율
도수율 = (재해건수 × 1,000,000) / 총근로시간. 강도율 = (손실일수 × 1,000,000) / 총근로시간. 숫자크기가 주는 함정을 조심(시간단위 h).
재해율 = (재해자수 / 평균근로자수) × 100. 세 지표 차이를 표로 써두면 암기부담이 확 줄어요.
🔊 5) 소음·진동: dB 합산 & 노출선량
두 소음 합산 근사: 차이 0~1 dB → +3 dB, 2~3 dB → +2 dB, ≥10 dB → 큰 값과 동일. 예) 90 dB + 85 dB ≈ 90 dB.
노출선량 D(%) = Σ (Cᵢ/Tᵢ) × 100. 100% 초과면 과다. 단위(h) 체크 후 소수점 반올림 위치가 포인트.
💡 6) 조도·광도: 역제곱 법칙
조도 E(lux) = 광속/면적, 점광원 근사시 E ≈ I / r²(I: cd, r: m). 거리 2배 → 조도 1/4. 갱내 조명 교체 계산은 거의 이 패턴.
실수 방지 팁: 거리·각도 간단 스케치 후 숫자 대입. 커뮤니티에서도 스케치習관이 오답률을 확 낮춘단 의견이 많아요.
🪨 7) 지보·록볼트 산정 감각
안전율 FoS = 허용강도 / 작용응력. 1보다 크면 안정. 보수계수 주어지면 허용치에 곱해서 낮춰 반영.
록볼트 본수는 총 지보력 ≥ 천정부하가 기준: 1본 지지력 × 본수 = 요구 지지력. 비례식으로 빠르게 본수 계산 끝내면 시간 절약됩니다.
🚜 8) 경사·운반·제동거리
경사도(%) = (상승고/수평거리)×100. 1:20 경사=5%. 비탈 각도↔퍼센트 변환 함정 주의.
제동거리 ≈ v² / (2 μ g). v는 m/s로 변환하고, 경사·질량 영향은 μ에 흡수하는 근사풀이가 실전적입니다.
🔎 미리 묻고 답하는 포인트(실전 감각)
Q. 갱도 A=10 m², V=3.0 m/s일 때 풍량?
A. Q=10×3.0= 30 m³/s (= 1,800 m³/min). 제출단위 꼭 맞추기!
Q. 메탄 8%에서 폭발 위험?
A. LEL~UEL(5~15%) 범위 내 → 조건 성립. 산소농도·점화원 여부까지 지문 체크.
Q. 88 dB + 88 dB 합산?
A. 같은 레벨 두 개 → +3 dB 근사 → 91 dB.
🧠 커뮤니티에서 통하는 암기 루틴 3가지
① “산식→대입→단위→반올림” 네 칸 체크: 시험지 여백에 네모 4칸 그려놓고 체크한다는 팁, 디시/카페에서 많이 보셨을거예요.
② LEL/UEL = 5~15%는 “오십”로, 팬법칙은 “1·2·3 / 3·2·5” 리듬으로. ③ ppm→%는 무조건 ÷10,000 크게 써두기. 체감효율 대박.
읽는 김에 오늘 바로 10문제만 풀어보세요. 막히는 유형은 댓글로 남겨주시면 당일치트 미니 정리로 이어가볼게요 😊
🤔 FAQ (자주하는 질문&답변)
❓ ppm이랑 % 변환 계속 헷갈려요
👉 % = ppm ÷ 10,000, ppm = % × 10,000. 변환식 먼저 적고 시작하면 실수 거의 0. 예) 0.08% = 800 ppm.
❓ 환기량 Q 계산 후 어떤 단위로?
👉 지문 요구에 맞추는게 원칙. 기본은 m³/s이지만, m³/min 요구시 ×60. 커뮤니티에서도 “단위맞춤”만으로 점수 지킨다는 글이 많습니다.
❓ 소음 3개 이상 합산법은?
👉 큰 값부터 두 개씩 +3/+2/동일 룰로 단계합산. 표준 로그합산표가 없어도 근사로 충분히 맞출 수 있어요.
❓ 법규 최신 반영은 어디서 확인해요?
👉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광산보안·산안법 검색이 가장 안전. 기출과 개정시점 차이도 체크!
❓ 실기랑 연계해서 어떤 파트를 더 봐야 할까요?
👉 환기·가스·지보는 필기/실기 크로스오버가 큽니다. 공식은 지금 외워두면 실기 계산도 절반은 끝난다고 보시면 됩니다.
🏁 결론
광산보안기사 필기는 환기(Q=A·V, 상사법칙)·가스(LEL/UEL·ppm↔%)·소음(dB 합산)·조도(역제곱)·안전지표 다섯 축만 단단히 잡으면 절반 이상은 선점입니다. 디시/네카페에서도 통하는 이 숫자감 암기 + 체크박스 루틴으로 마무리 스퍼트 해보세요. 지금 바로 10분만 투자해보실래요?
🌐 참고할만한 사이트 〉〉
🔍 더 알아보기 〉〉